독일어 시험 종류와 소개
안녕하세요. 뽀루입니다.
저는 요즘 대학교 때 배웠던 독일어를 다시 공부할까 합니다.
언어는 사용하지 않으면 금방 까먹는다고 하더니.....
정말 많이 잊어버렸어요ㅠㅠ
지금이라도 즐겁게 배웠던 독일어를 까먹지 않기 위해
하루에 조금씩이라도 공부하려고 해요!
처음 독일어를 배웠던 이유는
독일어 특유 발음 소리에 매료되어 시작하게 되었어요~
그때는 알았을까요... 독일어가 어려운 언어라는 것으로 하하하하 ^_^
그래도 독일어를 좋아했어서 대학시절에 나름?! 열심히 했답니다 ㅋㅋㅋㅋㅋ
과정과 결과는 물론 다를 수 있답니다? ^_^
많은 분들이 언어 공부에 있어 슬럼프를 느끼실 때가
공부를 하는데도 과연 실력이 늘고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드실 때 더라고요.
사실 언어라는 거 자체가 학문적인 지식으로만 아는 것이 아니라,
직접 사용해야지 내가 실력이 늘고 있구나 라고 체감할 수 있잖아요?
배운 언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 계시다면,
언어 능력을 증명할 수 있는 시험들을 응시하면서
언어의 감각을 유지해 주는 것이 좋은 방법 같아요.
그래서 오늘 이 시간 독일어 공부에 앞서 독일어 시험들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시험은 크게 4가지입니다.
1. Goethe Zertifikat/ 2. TestDaf/ 3. Flex/ 4. Snult입니다.
1. Goethe Zertifikat
주한 독일문화원에서 주최하는 시험으로, 16세 이상 독일어 학습자를 위한 독일어 증명 시험입니다.
시험 단계 | 시험 영역 | 합격 기준 | 시험 일정 |
외국어에 관한 유럽 공동 지침서에 따라, A1-A2-B1-B2-C1-C2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독해, 청취, 회화, 작문 |
A1/A2경우에서만 합격 평가 기준이 조금 다릅니다. 필기시험(독해, 청취, 작문)에서 최대 75점, 구술시험(회화) 25점으로 총 100점 만점이며, 시험에서 최소 60점을 취득하고 전체 시험 영역을 응시했을 경우 합격하게 됩니다. 나머지 B1~C2까지의 등급에서는 각 영역별로 60점 이상 점수를 획득해야 합니다. (4개의 영역 중 일부만 합격했을 경우, 1년 이내 떨어진 영역만 응시할 수 있다.) |
정확한 시험일자는 해마다 다르며, 보통 1년에 6회 정도 시행 됩니다. |
2. TestDaf
TesfDaf연구소에서 중앙 관리적으로 출제, 채점되며,
약 80여 개 국가에 소재한 인가받은 테스트 센터에서 시행되는 시험입니다.
본시험은 특히 독일 대학 입학을 위해 높은 수준의 어학 증명을 필요로 하는 학생분들을 위한 시험입니다.
그래서 TestDaf에 합격하면, 독일 대학의 DSH시험을 보지 않고도,
바로 대학에서 학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독일 대학 입학 지원자 말고도, 자신의 독일어 능력에 대한 공식적인 증명을 원하는 분들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시험 단계 | 시험 영역 | 합격 기준 | 시험 일정 |
별도의 등급이 없으며, 점수에 따라 등급을 평가 받습니다. |
독해, 청취, 회화, 작문 | 영역별 5등급이 만점이며, 3등급 이하는 따로 성적 표기가 되지 않습니다. (보통 독일 대학의 경우 각 영역별 4점 제출을 요구 하고 있습니다.) |
정확한 시험일자는 해마다 다르며, 보통 1년에 6회 정도 시행 됩니다. |
3. Flex
1999년 한국외국어대학교가 개발한 전문적인 외국어 능력시험으로,
외국어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능력을 공정하고 균형 있게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 공공기관, 공기업 등은 물론 국내 그룹사, 기업체, 외국계 회사, 학교 등에서 외국어 능력 평가의 기준으로 인정받아 왔으며
입사, 승진, 인사, 해외파견 등의 평가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시험 단계 | 시험 영역 | 합격 기준 | 시험 일정 |
별도의 등급이 없으며, 점수에 따라 등급을 평가 받습니다. |
듣기/읽기, 말하기, 쓰기 (필요한 영역을 선택하여 응시할수 있습니다) |
듣기/읽기의 경우 만점이 1000점 이며, 쓰기, 말하기 각각 250점이 만점입니다. 점수에 따라 등급이 상이합니다. (1A,1B,1C~3A,3B,3C) |
현재 연 4회만 시행하며, 정확한 시험일자는 해마다 다릅니다. |
4. Snult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개발하여 TEPS 관리위원회에서 시행하는 시험입니다.
시험 단계 | 시험 영역 | 합격 기준 | 시험 일정 |
별도의 등급이 없으며, 점수에 따라 등급을 평가 받습니다. |
듣기, 읽기 | 100점이 기준이며, 점수에 따라 등급이 상이합니다. (1+,1,2+,2~3,4) |
정확한 시험일자는 해마다 다르며, 연 2~3회 시행하고 있습니다. |
자 이렇게 독일어의 대표적인 4가지 시험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 드렸습니다.
올해 저의 목표는 B2이 입니다!
확고한 목표가 생겼으니 열심히 달려가 볼까요?! 모두들 파이팅하세요!